건강지킴이

[스크랩] 김해김씨 72대 , 경파(= 금녕군파) 22대 (종자항렬)

나오리오 2011. 9. 21. 18:49

지난 시제를 마치고 묘의 위치와 조상의 경력을 연상하며 김해김씨 경파통합보(족보)를 다시 살펴 보았다.

종자 돌림인 나는 김해김씨 72대(71대손)이며 경파=금녕군파(중시조 목경 할아버지) 22대이다.

* 여기서 본인을 다른 사람에게 소개할 때는 김해김가라고 소개하는 것이 예의에 맞다고 한다.

 (계보 요약)

 1세 -1대   시조 김수로왕 x 허황옥(인도 고대국가의 공주)

      시조께서 황금알에서 나왔다하여 성을 김으로 하였으며, 10남2녀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김씨로 왕통을

      잇고, 두 아들은 허씨 왕비의 간청으로 허씨(태인 허씨)를 주고, 다시 허씨에서 갈라져 나온 인천 이씨가 있다.

      따라서 김해 김, 태인 허, 인천 이씨는 같은 혈족이다. 

 51세-51대 경파(= 금녕군파) 중시조 김목경,  고려 충열왕 때 문과에 급제, "조적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금녕군에 봉해졌음

 ********중략

 62세-62대 차남 김수봉 x 평산신씨, 묘 고양시 화전, * 4형제중 차남

 63세-63대 차남 김대준 x 밀양박씨. 묘 공주 신하, 장남 김대열(고양시)

 64세-64대 차남 김경하 x 진도김씨, 묘 사발골 쌍, 통훈대부 군자감정역임, 사발골 가장먼저 시제

                      장남 김정하( 공주 신상) 

 65세-65대 외동 김시희 x 경주이씨, 묘 소짝골,사발골,통정대부 공조참의역임, 소짝골 가장먼저 시제

 66세-66대 차남 김석조 x 남평문씨, 묘 사발골, 사발골

                      장남 김상조(형조참의,  아랫모티 종식 종술 친족 직계)

 67세-67대 차남 김기현 x 경주김씨, 묘 소짝골 쌍 

                      장남 김성현(묘 공검 비석골, 사벌 덕가 거주 친족 직계)

 68세-68대 외동 김제홍 x 경주이씨, 묘 사발골 쌍,

 69세-69대 외동 김종식 x 전주이씨, 묘 소짝골 쌍 (벌밭에서 할머니묘 이장)

 70세-70대 차남기 x 남양홍씨, 묘 소짝골 쌍

                     장남 김현석x밀양박씨(묘소짝골),3남 김현구(?),4남 김현응(묘소짝골,기성),5남 김현일(?)

 71세-71대 장남 김순배(팔원) x 달성서씨(복군), 차남 김만배(만출,묘양산공원), 3남 김진배(진출,묘소짝골)

 72세-72대 종윤, 종인, 종문, 순이, 순자, 순정, 부산큰집(종태, 종원, 종복, 종구, 순선, ......)

 73세-73대 형태(대현), 국태, 현태, 훈태(태훈), 진태(태진), 혜경, ....... 

               * 태자 항렬은 김해김씨 73대, 경파(= 금녕군파) 23대

 74세-74대 김영x,  (자 돌림)

 75세-75대 김x섭, 또는 김x겸  ( 또는 자 돌림)

 

* 항렬 돌림자: 70대-현ㅇ, 71대-ㅇ배, 72대-종ㅇ, 73대-ㅇ태, 74대-영ㅇ, 75대-ㅇ섭 또는ㅇ겸, 76대-재ㅇ, 77대-ㅇ진

 

계보를 종자 돌림 기준점에서 살펴 보면 

10대조(김수봉)께서는 경기 고양에서 생활하셨고, 그의 차남이신 9대조(김대준)께서 고양에서 공주로

이주하셨으며 9대조의 차남이신 8대조(김경하)께서 공주에서 상주로 이주 것으로 추정 된다.

사벌거주 친척은 6대조(김석조)와 종술, 종옥, 종식 형들의 친척과는7대조(김시희)가 같은 할아버지이시다.

촌수는 같은 항렬인 경우 " ㅇ대조 X 2 로 계산하면 된다. 즉 2대조(할아버지)가 같으면 4촌간, 3대조(증조)가

같으면 6촌간이다. 따라서 사벌에 거주하시는 친척과는 12촌간, 종술형과는 14촌간이다.

현재 비석골(공검못 옆)의 5대조(현조)의 형님(김성현) 시제는 그 후손(사벌 등에 거주)이 지내고 있다.

 

< 참고 >

 족보에서 세와 대, 대조와 대손의 비교

 1세-1대 6대조                         6대조-6세조

 2세-2대 현조                          5대조-5세조

 3세-3대 고조                          4대조-4세조

 4세-4대 증조                          3대조-3세조

 5세-5대 할아버지                    2대조-2세조

 6세-6대 아버지                       1대조-1세조

 7세-7대 나             1세-1대             0

 8세-8대 아들          2세-2대       1대손-1세손

 9세-9대 손자          3세-3대       2대손-2세손

 10세-10대 증손자    4세-4대       3대손-3세손

* 여기서 "세와 대"는 쓰임이 같은 말이고, "대손과 세손"또한 쓰임이 같은 말이다. 

  x세손-x대손의 경우 기준점이 되시는 조상을 후손에 넣을 수 없고, 또한 x대조-x세조의 경우

  아래로 부터 기준점이 되는 자손을 조상에 포함시킬 수 없음이다.

 

 

 

출처 : 아름골짝
글쓴이 : 안양큰집 원글보기
메모 :